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

(4)
MBR(Master Boot Record)와 GPT(GUID Paritition Table) 📎요약 : MBR은 이전부터 사용되어 온 구조로, 특정 한계가 있지만 일부 구형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반면, GPT는 UEFI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최신 파티션 테이블 구조로, 대형 디스크와 다수의 파티션을 지원하며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등과 같은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단 본 컴퓨터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Diskpart를 사용하여 디스크 파티션 유형을 확인하였다. 위치가 살짝 안맞지만 GPT에 * 표시가 있는걸 볼 수 있다.   좀 더 확실한 확인을 하기 위해 디스크 관리에서 확인해보았다. GPT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MBR(Master Boot Record)MBR은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0번째 섹터)에 위치한 데이터 구조로, BIOS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다..
3주차 - 솔리디티 Event, modifier, receive,fallback,call,delegate call (미완) 💡솔리디티에서 Event이벤트는 블록체인 로그를 기록하는 방법입니다.블록체인에 로그로 저장되며, 외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이 로그를 감지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토큰 전송이 발생할 때마다 이벤트를 발생시켜 외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 💡receive와 fallback이더를 수신할 때 호출되는 특별한 함수들입니다.receive: 기본 이더 수신 함수, 단순한 이더 수신을 처리함.fallback: 호출된 함수가 없을 때 실행, 이더 수신 및 함수 호출 실패 시 작동한다. 💡call와 delegate callcall: 다른 컨트랙트의 함수 호출(bool success, ) = otherContract.call{value: msg.value..
3주차 - 솔리디티 단위,저장영역, 접근제한자 4개,조건문 사실 순서는 뒤죽박죽이 되버렸지만, 나중에 정리는 한꺼번에 하는걸로....먼저, 간단하게 솔리디티에 대해 정말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솔리디티(Solidity)이란? 솔리디티는 이더리움 및 EVM 호환 블록체인용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기 위해 개발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임JavaScript, Python, C++ 문법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정적 타입과 객체지향언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언어특징함수 시그니처, 상태 변수 등이 엄격히 정의되며, 라이브러리·인터페이스 등의 지원으로 재사용성을 높임이벤트 특성으로 계약 외부로 상태 변화를 알리는 로그 기능을 제공하여 프론트엔드 연동에 활용됨배열이나 맵 등 자료구조 안전 검사, gas 한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실행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안정성이 높은 편..
3주차 - 솔리디티 시작, 변수선언, 자료형(mapping, array, 구조체등) https://velog.io/@vamprodo47/Remix%EB%A1%9C-%EA%B0%9C%EB%B0%9C%ED%95%98%EA%B8%B0 Remix로 개발하기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 개발을 위해 IDE(통합 개발 환경)인 Remix를 사용해보겠습니다. VScode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자체적으로 솔리디티 코드를 디버깅하거나 컴파일 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입velog.io먼저 솔리디티를 직접 사용해보고 싶어서 IDE(통합 개발 환경)인 Remix를 사용해볼려합니다. VScode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자체적으로 솔리디티 코드를 디버깅하거나 컴파일하는 기능이 없대요... Remix를 사용하면 컴파일,배포,테스트,디버깅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니까 일단 한번 해보겠습니다!Web IDE : http:/..